부산시 공공 심야약국 현황, 운영 기준 및 지정 방식 요약(2025년 9월 기준) - 밤 10시~새벽1시 운영


🎯 부산시 공공 심야약국 현황, 운영 기준 및 지정방식 요약

부산시에는 약사법에 근거하여 16곳의 공공 심야약국이 상시 운영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 2025년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부산시 공공 심야약국의 신청·지정 절차, 운영 기준과 현황까지 정리했습니다.

🟡 운영 현황

부산시는 2025년 기준 16개소의 공공 심야약국을 지정해 운영 중입니다. 운영시간은 대부분 밤 10시~자정 또는 새벽 1시(3시간)이며, 기장군은 요일별 2곳 운영 방식입니다.


🔵 지정 절차

부산시 공공 심야약국 지정은 약사법 시행규칙 제11조의3·4에 기반하며, 각 구·군 조례에 따라 구청장이 신청을 검토·선정합니다. 신청은 약국 개설자가 구·군청에 접수하며, 전문성·접근성·지역균형성 평가 후 지정합니다. 
출처 - 부산광역시 약사회

🟢 운영 기준 및 지원

- 운영시간: 기본 3시간(22시~25시 또는 21시~24시), 기장군 일부는 요일별 순환 운영
- 지원금: 시간당 약 4만 원, 총 12만 원/일 수준 (지역별 차이 가능) 
- 관리 감독: 복약지도 제공 필수, 정기 점검으로 위반 시 지정 취소 및 지원금 환수 가능

📌 FAQ

Q. 공공 심야약국은 몇 곳인가요?
➤ 2025년 기준 부산 전체 16곳, 기장군은 2곳이 요일별 교대 운영 방식입니다. 

Q. 운영시간은 어떻게 되나요?
➤ 대부분 밤 10시~자정 또는 새벽 1시(3시간 운영), 일부는 밤 9시~자정(3시간)도 운영 중입니다.

Q. 지정 기준과 법적 근거는요?
➤ 「약사법 시행규칙 제11조의3·4」, 부산시 자치구별 공공심야약국 관련 구·군 조례에 의해 지정 절차 및 기준이 마련되어 있습니다. 

Q. 지정 취소나 지원금 환수 기준은?
➤ 복약지도 미제공, 운영시간 미준수 등 위반 시 지정 취소 및 지원금 환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 

📋 관련 법령